사람은 일생에 한번 반드시 치러야 할 일이 관혼상제이다.
관례는 성인식인데 요즘은 서당도 없고 한학도 하지 않으니 관례를 치룰 일이 없다.
상례 즉 장례는 반드시 누구나 겪어야 할 일생의 관문이다.
이런 상례를 당하면 예전에는 비용이 아주 많이 들었다.
우리 동네를 예로 들면 장례 비용은 전적으로 상주가 부담했다.
지금은 조위금이라 하여 상주에게 부의금을 내어 돕기도 하고 상조업체에 미리 돈을 적립해 일정부분 도움을 받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동네는 원래 조의금이 없었다.
동네가 매정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예전에는 사람은 평생 3번은 돈을 써야 한다고 했다.
결혼식 환갑 장례식이다.
자식의 결혼식.자기나 부모의 환갑,부모의 장례 때이다.
결혼날은 동네에서 구혼식을 하던 것이 당연하던 때 축의금 성격의 약간 부조가 있었는데
집집마다 쌀 한 두되를 거두어 결혼하는 집에 주었다.
나머지는 혼주인 아버지가 다 부담하는 것으로 결혼식 한번 하려면 돈이 많이 들었다.
지금은 동네에서 환갑을 안 하고 보통 칠순이나 팔순으로 한다.
칠순이나 팔순 역시 예전 관습 대로 부조를 안 한다.
장례식은 언제부터 인지 모르나 80년대 초부터인가 부조를 하기 시작했다.
나 군대 가기 전에는 부조를 안 한 것 같았는데 제대하고 집에 있을 때 보니 부조를 하기 시작했다.
그때 장례식장은 없던 시절이라 상주가 집에서 장례를 치르던 때이다.
보통 3일장을 하고 비싼 홍어도 사오고 돼지도 한마리 잡았다.
상주에게 상당한 부담이 가는 시기라 부조가 생기기 시작한 것을 이해한다.
장례에서 부조가 생기기 몆년 전에 동네 가난한 사람이 죽었을 때 묘자리를 팔 사람들에게 막걸리 한잔도 대접하지 못할 정도라
동네 사람들이 돈을 거두어 막걸리라도 사서 대접한 일이 있었다.
이렇게 장례에서 비용은 전적으로 상주가 부담하고 부조금이 없던 시절이라
그 많은 비용이 걱정되는 사람들 중에는 상포계를 조직했다.
계원이 장례가 생기면 아마도 수의값.상여값과 음식비용 등이 주 비용으로 십시일반 돈을 내어 부담을 줄였을 것 같다.
인원이 10명 이상 되어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기에 보통 친목계보다 인원이 많은 듯 하다.
마지막 상포계는 큰댁 형이 조직한 계인데 지금도 유지되는지 모르겠다.
계원들 부모님 모두 오래 전에 고인이 되셨으니 계는 해산이 되었을 것 같다.
이제는 상조도 생기고 장례식에서 부조금이 일반화되어 더 이상 상포계를 조직할 일은 없어졌다.
그런데 부조금이 문제이다.
특히 직장인들
그 중에 공무원으로 퇴직한 분들 그 많은 경조사비 어쩔꺼나 ?
어느 때인가 본 글
은퇴 후 경조사비 때문에 외국으로 이민가고 싶다던 분 ......
'전통 친목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동계 지갈이 (3) | 2024.12.23 |
---|---|
나락계 (0) | 2017.04.01 |
최후의 옛날 친목계는 어떻게 운영되었을까? (0) | 2017.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