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렁이 잘 살고 있음 제초용 우렁이 알 제초용 우렁이 교미 중 모내기가 늦으면 이렇게 늦게 자란다. 당연히 수확량도 일정 부분 줄어든다. 그렇다고 왕성하게 자라라고 요소비료를 많이 주면 잘 자라기는 하지만 태풍이나 돌풍에 벼가 쓰러진다. 요소비료를 많이 쓰면 수확량은 늘지만 단백질 함량이 높아져.. 벼 2014.07.18
논을 매는 우렁이 추가 투입 우렁이가 논둑에 알을 낳았다. 이 풀은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일반 제초제는 효능이 없는데 우렁이가 먹느라고 씨름하고 있다. 다년생 잡초 우렁이가 교미 중 평소 사진을 건너편에서 찍다 이번에는 장소를 바꿔 반대편에서 찍음 우렁이 선수 한 바가지 추가 투입 벼 2014.07.17
[스크랩] 우렁이가 논 열심히 매고 있습니다. 우렁이를 몆차례 더 넣었습니다. 제초용 우렁은 하류에서 상류쪽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는 듯 제 논 수로에서 계속 잡힙니다. 상류는 폐쇄된 곳이라 이런 생각이 듭니다. 다른 곳에도 올린 사진입니다. 이 중에 국내종 우렁이 하나 있습니다. 눈썰미가 좋은 분은 금방 식별하실 것.. 벼 2014.07.14
친환경 우렁이를 넣다 고마리가 무성한 농수로 이 농수로에는 열대산 풀매는 우렁이가 많다. 원래는 열대생물이라 온대의 우리나라 겨울에는 모두 얼어죽어야 하지만 풀이 무성한 개울에서 바닥으로 파고 들면 겨울에도 얼지 않으니 겨울에는 모두 동사해야 할 우렁이가 월동을 한다. 우렁이가 수로에 지천으.. 벼 2014.07.01
어제 모내기 하다 너무 바빠 숨돌릴 겨를이 없어 불로거님들의 블로그 방문과 댓글도 달아드리지 못하고 제 블로그 답글도 달아드리지 못하고 농사일기만 씁니다. ========================================================= 어제 모내기를 하여 한 가지 농사를 끝냈다. 사진은 다음에 추가. 오늘도 마늘 캐러 가기 직전 잠.. 벼 2014.06.20
던지는 모내기와 이앙기 모내기 벼 종자는 잘 모르지만 모판에서 모를 떼어 내 주변으로 적당히 던지는 방식으로 이앙을 한 논입니다. 초기에는 벼농사가 잘 될까 의문이 될 정도로 초라하게 띄엄띄엄 배열되고 줄도 안맞는 논인데 이제 이삭이 나오기 시작하니 벼농사가 제대로 모양을 갖춘 것 같습니다. 바로 옆의 이.. 벼 2013.08.31
키다리병 ? 동네 사람 논인데 키다리병이 걸린 것이 드문 드문 보입니다. 앵미는 아닐 것으로 봅니다. 같은 시기에 이삭이 나옵니다. 정상적인 벼보다 키가 한참 크지요. 종자소독의 문제인지 하여튼 매년 이런 벼가 보입니다. 벼 2013.08.31
앵미일까요? 앵미에 관한 사진 자료 있는 곳입니다. http://blog.daum.net/ahk1128/28 동진찰벼를 이앙기로 심은 논입니다 아직까지 살충제와 살균제는 뿌리지 않았습니다. 수통 옆의 개구리 운 좋은 놈입니다. 이와명충과 벼멸구약으로 살충제 뿌렸다면 살아남지 못했을 놈이죠 . 무살충제이니 거미류가 많이.. 벼 2013.08.22
벼 이앙 방식 몆가지 모내기 방식도 여러가지입니다. 요즘은 벼를 상토를 깐 플라스틱 규격 모판에 모를 키워 승용이앙기로 모내기를 합니다. 1.손모 그렇지만 논바닥에 직접 볍씨를 뿌려 못자리를 만들고 손으로 모를 쪄서(뽑아) 눈치껏 선을 파악해 직접 손으로 논바닥에 서서 모를 심는 방식이 원래 전통 .. 벼 2013.08.18
흑명나방(희사)가 두번째 갉아 먹다 올해 벼농사 처음입니다. 약 1천평이 조금 부족한 면적에 동진찰벼를 심었죠. 제초제만 뿌리고 아직까지 살충제와 살균제 농약은 하지 않았습니다. 7월29일자 흑명나방 흔적 사진입니다. 흰 부분이 흑명나방의 애벌레가 먹고 나방이 되어 날아간 자국입니다. 지난번에 한번 흑명나방(희사).. 벼 201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