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자공문왈 공문자 하이위지문야 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
子貢問曰 孔文子 何以謂之文也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자공이 묻다.
孔文子는 왜 시호가 文입니까?
공자님이 말씀힌시길
민첩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래 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니 文이라 시호를 붙인 것이다.
孔文子 衛나라 대부 孔圄(옥 어) 仲叔圄라고도 불렀으며 시호는 文
下 아래 사람
之 대명사 그
'논어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논어읽기 .晏平仲 善與人交 (1) | 2025.04.22 |
---|---|
108.논어읽기 .子謂子産 (0) | 2025.04.22 |
106.논어읽기 .子路有聞 (1) | 2025.04.19 |
105.논어읽기 .夫子之文章 (1) | 2025.04.19 |
104.논어읽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1)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