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무백문 자로인호 자왈 부지야 우문 자왈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구야하여 자왈 구야 천실지읍 백승지가 가사위지재야 부지기인야 혁야하여 자왈 적야 속대입어조 가사여빈객언야 부지기인야.
孟武伯問 子路仁乎 子曰 不知也 又問 子曰 由也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不知其仁也
求也何如 子曰 求也 千室之邑 百乘之家 可使爲之宰也 不知其仁也
赤也何如 子曰 赤也 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
맹무백이 여쭙기를 자로는 인합니까?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모르겠다.그가 또 여쭙기에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由는 제후의 나라에서 군사를 다스릴 만 하나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다.
求는 어떻습니까?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求는 천실지읍이나 백승지가의 지역에서 통치자를 하는 것이 가능하나 인함은 모르겠다.
赤은 어떻습니까?
공자님이 말씀하시길
赤은 관복을 입고 조정에 나아가 빈객들과 응대를 할 만은 하나 그가 인한지는 모르겠다.
孟武伯 노나라 대부
千乘之國 제후의 나라
賦 軍賦 군정 전반
求 공자의 제자
何如는 何如間의 의미로 앞 내용을 막론하고 뒤 내용을 말할 때 쓰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는 말. ‘모양, 형편, 정도나 조건 따위가 어떻게 되어 있든지 간에’의 뜻으로 쓰인다(출처 다음사전)
千室之邑 卿大夫의 고을
百乘之家 경대부의 집안.제후가 다스리는 지역을 國.경대부가 다스리는 지역을 家.
宰 대부의 고을을 다스리는 邑宰.대부의 家를 다스리는 家宰
赤 공자의 제자 성은 公西.이름이 赤.노나라 사람
束帶 예복의 띠를 두름.예복을 입음.
賓客 나라의 손님
'논어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2.논어읽기.宰予晝寢 (2) | 2025.04.14 |
---|---|
101.논어읽기.子謂 子貢曰 女與回也 (0) | 2025.04.13 |
99,논어읽기.道不行 乘桴浮於海 (1) | 2025.04.11 |
98.논어읽기 子使漆雕開仕 (0) | 2025.04.10 |
97.논어읽기 .或曰 雍也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