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올해 벼농사 이변이 없는 한 풍년이다.
며칠 전까지 무농약으로 지네다 사진 위처럼 멸강나방이 상당히 많이 퍼져 농약을 했다.
멸강나방이 나방이 되기 직전 번데기 상태
멸강나방 번데기
이렇게 통통하도록 클 때가지 주변 벼 잎을 다 잘라 먹는다.
살라고 나온 곤충인데 너무 피해를 입힐 것 같아 할 수 없이 살충제 농약을 뿌렸다.
올해 무농약 농사는 포기했다.
다른 집 이웃 논의 일반벼로 목도열병이 걸렸다.
농사 다 지어 죽정이만 달렸다.
원인은 화학비료 과다 사용으로 벼가 지나치게 무성해지면서 걸린 것으로 추정한다.
내논의 벼 잎에서 흑명나방이 속에서 갉아 먹고 있다.
멸강나방약으로 방제가 된 줄 알았더니 농약을 너무 약하게 해서 여전히 이렇게 흑명나방과 멸강나방이 갉아 먹고 있다.
농약은 병의 용법대로 사용하면 안되는 모양이다.
병충해가 내성이 생겨 규정된 용량만 살포하면 방제가 안된다.
내년부터는 50% 더 강력하게 사용해야 할 모양이다.
이건 아무레도 도열병이거나 문고병일 것 같다.
혹시 모르니 습도가 낮아지도록 논바닥 물을 최소높이가 되도록 물을 빼고 있다.
벼 이삭이 생성되고 나올 때 가장 많은 물이 필요한 때이지만 도열병 예방을 위해 물을 뺀다.
여름날 강한 햇볕이 필요한데 요즘 비가 자주 오니 바람도 잘 안통하고 습기가 너무 많아서 도열이 걸릴까 싶다.
============================================
우렁이 농법 완결
우렁이가 제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내년부터는 우렁이농법을 전면 시행할 것이다.
'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렁이농법의 효과 (0) | 2014.09.04 |
---|---|
해남메뚜기 대발생 (0) | 2014.08.29 |
우렁이논에 백로가 날아와요 (0) | 2014.08.15 |
우렁이친환경 벼농사와 논둑 베기 (0) | 2014.08.15 |
오늘 이삭거름 해야지 (0) | 2014.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