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중궁왈 리우지자 성차각 수욕물용 산천기사저
子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공자님이 仲弓에 대하여 말씀하시길
얼룩소의 새끼로서 털이 붉고 뿔이 곧아 반듯하다면 비록 제물로 쓰지 않으려 한다해도 어찌 산천(神)까지도 그를 버릴까?
犂쟁기 려, 얼룩소 리, 떨 류(다른 표현: 밭 갈 리, 밭 갈 려)
騂절따말 성(다른 표현: 붉은 말 성)
角 꿩이 우는 소리.뿔이 반듯하게 자란
用
雖 비록 (다음사전)
(1)…기는 하나. 확정의 말.
門雖設而常關 陶潛
문수설이상관
(2)…라도. 가정의 말.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 論語
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心誠求之 雖不中 不遠矣 大學
심성구지 수부중 불원의
2.만일. 만약.
雖無娣 媵先 儀禮
수무제 잉선. 동의자 若
3.하물며. 황차.
雖戎狄其何有予一人 左氏傳
수융적기하유여일인
4.곧. 즉.
雖微晋而已 天下其孰能當之 禮記 수미진이이 천하기숙능당지
5.밀다. 추천함.
吾雖之不能 去之不忍 國語
오수지불능 거지불인
6.이. 발어사.
雖敝邑之事君也 左氏傳
수폐읍지사군야 .유의자 惟
7.오직. 다만.
雖有明君能決之 管子
수유명군능결지. 유의자 唯
8. 벌레 이름. 도마뱀과 비슷함.
舍 捨와 통함
諸저 어조사로 쓰임 ~는가? (다음사전)모든 제, [본음] 모든 저, 어조사 저(다른 표현: 모두 제, 김치 저)
1. 구별 […諸] …은. …는. …것은. 者와 쓰임이 같음. - 或諸遠人乎<禮記>
2. 대명사 […諸] …이. …이를. …이에. 之와 쓰임이 같음. - 堯舜其猶病諸<論語>
3. 강조 [其諸…] …그야말로. 之와 쓰임이 같음. - 其諸異乎人之求之與<論語>
4. 諸의 음이 두 자의 합음과 비슷하므로 之於·之乎에 대용(代用). (1) 이를. 이에. 대명사 之와 於를 합친 것. - 兄弟吾哭諸廟<禮記> (2) 이를 …는가? …은가? 之와 乎를 합친 것. - 子路問 聞斯行諸<論語>, 山川其舍諸<論語>
5. 위치·목적 (1) […諸…] …에. …에서. …에게서. 於와 쓰임이 같음. - 射求正諸己<禮記> (2) […諸…] …에. …에서. 乎와 쓰임이 같음. - 孝弟發諸朝廷 行乎道路<禮記> 6. 영탄 […諸] …여. …이여. …저. …인저. - 日居月諸<詩經>
7. 형용 […諸] …로운. …다운. 焉, 乎와 쓰임이 같음. - 齊齊乎其敬也 愉愉乎其忠也 勿勿諸其欲其饗之也<禮記>
이 문단에서는 중국 고대 제사에서 얼룩소는 제물로 안 썼다는 뜻을 암시하고 있다.털빛이 붉고 뿔이 반듯이 자란 소만 제물로 썻다고 ?
얼룩소의 새끼라고 다 얼룩은 아니고 뿔이 반듯하게 자라면 제물로 쓸 수도..
얼룩소는 젖소인 유럽이 고향인 홀스타인을 떠 올린다.
오래 전에 한국에도 재래종인 한우 얼룩소가 있었다 한다.나는 송아지송아지 얼룩송아지 노래에서 얼룩소는 들었지만 고향인 농촌에서60년대부터도 얼룩소를 본 적이 없다.다만 황소이지만 검은 털이 입주변과 목주름 부위에 섞인 소는있었다.이런 소를 얼룩소라 한 것으로 본다.
공자 생존 시절인 전국칠웅 때에도 그 지역에 남방의 물소가 아닌 한국의 황소 계통의 소가 황하 주변에 살았을 거란 추측은 할 수도 있겠다.
원문은 얼룩소의 비유이지만 사람에게로 교훈을 확장하여 볼 수도 있다. 사람이 태어날 때 환경이 유복하지 않았어도 인격과 전문성으로 일가를 이룬 사람은 국가를 위하여 등용될 수도 있다는 ?
노무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 후보를 보면서 이 구절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그때 노무현 대통령은 고졸이라 (마음에 안 든다고? ) 다음대통령은 대학을 나와야 한다고 상대당 누가 말했다.이재명 후보의 이번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파기환송판결을 보면서도 이런 생각이 든다.후보의 어린 시절 고난의 환경 때문에 그들만의 이너서클에 들지 못했던 점이 마음에 안 들어 어떻게든 후보등록을 불가능하게 할 유죄판결을 하려고 유도한 것은 아닌가?
2500년전 공자님도 신분을 떠나 관료로서 품격을 갖추었다면 등용될 거라 하셨다....
'논어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6.논어읽기 .仲由 可使從政也與 (2) | 2025.05.09 |
---|---|
125.논어읽기 .其心三月不違仁 (2) | 2025.05.09 |
123.논어읽기 .子華使於齊 (0) | 2025.05.07 |
122.논어읽기 .哀公問弟子孰爲好學 (1) | 2025.05.07 |
121.雍也편 시작 雍也 可使南面 (2)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