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벼 무논 점파 작업 체계
파종 4~6일 전에 밑거름(추천시비량)을 주고 로타리로 본답을 균일하게 정지하고
담수 상태에서 제초제 처리 ( 밧사그란 등)---> 물 빼기 (로타리 후 4~5 일경 : 이 동안에 흙이 가라앉고
로타리 전 발생한 잡초를 완전히 박멸함) -->파종 (물 빼기 1~2 일 후 )--> 파종 후 5일경 간단 관수 (포장 여건 고려)-->파종 후 10일경 담수 2~3일간 충분한 물대기 후 중기제초제 처리 로타리 후 15~18 일 (파종 후 10~13일)--> 파종 후 25~30일 잡초 방제를 위해 제초제를 물에 타서 뿌림
2. 물관리
파종 후 10일간 무담수 상태로 하나 볍씨가 너무 마르거나 간척지에서는 간단간수 실시
논의 상태에 따라 중간에 골에만 물을 넣어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3. 잡초방제
파종 12~14일 경(벼 2~3엽기) 담수상태에서 중기제초제 처리(금물결 ,다관왕 ,필드왕)하고 잡초 발생 상태에따라 후기 제초제를 처리하여 방제
4. 본답중기 및 후기관리
본답 중기 이후의 병해충,시비, 물관리는 기계이앙과 같으며 특히 출수 후 조기에 완전 물떼기 실시는 수 량과 품질저하의 원인
* 이앙재배보다 5일 늦게 뺌(출수 후 45일 째)
효과
노동력 절감 : 22.3시간 / ha (기계이앙 대비 35.3 %)
생산비 절감 : 34.9천원 / ha (기계이앙 대비 22.8%)
입모 확보 용이 ,도복발생방지 ,잡초성 벼 발생 억제 등
해남군 농업기술센타 제공 (내가 용어를 바꾸고 보충함)
===========================================================
내 생각 추가
무논점파가 좋기는 하나 왕우렁이가 월동하는 곳에서는 벼가 싹이 튼 후 물을 대기 시작하면
우렁이가 땅속에서 나오거나 수로를 통해 들어 와 벼의 싹을 뜯어 먹을 가능성이 있음
그래서 왕우렁이 방사 지역은 무논 점파 후 살충제로 우렁이를 죽여야 할 것 같음
무논 점파가 실패한 농법이라는 의견이 있는데
잡초가 벼 사이사이에서 자라기 시작하는데 제초제로 잡기 어렵다고 함.
그렇지만 내가 경험한 농사가 아니라 확실히 알 수 없음.
무논 산파 방식의 직파의 경우 잡초성 벼(엥미)가 많이 발생해 몆 년 후에는 직파 불가능해 짐.
개총각 재롱이네
'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 친환경 재배기술 (0) | 2015.05.04 |
---|---|
벼 병해충 친환경 자재 (0) | 2015.05.03 |
목도열병 (0) | 2015.05.02 |
(판매 종료)우렁이농법 찰현미와찹쌀 (0) | 2015.04.24 |
며칠 전 논 모습 (0) | 2014.09.30 |